Java & Spring/Java
검색결과
1
개

[람다/스트림] 람다식 간단한 개념
람다식이란 함수나 메서드를 간단하게 표현한 식이다. 람다식은 익명 함수가 아닌 익명 객체이다. 그러므로 다룰 수 있는 참조변수가 필요함. 함수형 인터페이스 참조변수를 가지고 람다식을 참조할 수 있다. 반환값이 있는 메서드의 경우, return문 대신 ‘식(expression)’으로 대신할 수 있다. (int a, int b) -> {return a > b ? a : b;} 이랬던 메서드를 (int a, int b) -> a > b ? a : b 로 바꿀 수 있다. *다만 return문을 생략하지 않고 쓰는 경우에는 꼭 {블럭}과 '세미콜론(;)'을 써줘야 한다. 식이 아닌 문장이기 때문일까,,? (int a, int b) -> {return a > b ? a : b;} public interface My..
Java & Spring/Java
2022. 6. 24. 14:0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