浪漫失調

  • HOME
  • CONTACT
  • SETTING
  • LOGIN
  • HOME
  • CONTACT
  • SETTING
  • LOGIN

CATEGORIES

  • 분류 전체보기
    • Computer Science
      • Computer Stucture
      • Data Structure & Algorithm
      • Operating System
      • Network
      • Database
    • Java & Spring
      • Java
      • WhiteShip Study
      • Spring Core
      • Spring MVC
      • 에러 & 해결
    • Coding Test
      • BAEKJOON
      • Programmers
    • Write down
      • 기록

Java & Spring/Java

검색결과 1 개
[람다/스트림] 람다식 간단한 개념

람다식이란 함수나 메서드를 간단하게 표현한 식이다. 람다식은 익명 함수가 아닌 익명 객체이다. 그러므로 다룰 수 있는 참조변수가 필요함. 함수형 인터페이스 참조변수를 가지고 람다식을 참조할 수 있다. 반환값이 있는 메서드의 경우, return문 대신 ‘식(expression)’으로 대신할 수 있다. (int a, int b) -> {return a > b ? a : b;} 이랬던 메서드를 (int a, int b) -> a > b ? a : b 로 바꿀 수 있다. *다만 return문을 생략하지 않고 쓰는 경우에는 꼭 {블럭}과 '세미콜론(;)'을 써줘야 한다. 식이 아닌 문장이기 때문일까,,? (int a, int b) -> {return a > b ? a : b;} public interface My..

Java & Spring/Java 2022. 6. 24. 14:03
PREV NEXT
TODAY    YESTERDAY   ALL   

티스토리툴바

단축키

내 블로그
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Q
Q
새 글 쓰기
W
W

블로그 게시글
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E
E
댓글 영역으로 이동
C
C

모든 영역

이 페이지의 URL 복사
S
S
맨 위로 이동
T
T
티스토리 홈 이동
H
H
단축키 안내
Shift + /
⇧ + /
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